-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aching Competency Diagnostic Tool: Focusing on the case of S Univers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은(Kyoung-eun Kim) 장은정(Eun-jung Jang) 이성주(Seong-joo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8호, 271~28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의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교수역량의 요소를 추출하고,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교수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여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교수역량의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78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문항에 대한 2차의 전문가 델파이 조사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38개 문항의 최종 시안을 확정하였다. 교수역량 진단도구 최종 시안에 대한 타당화를 위해 S대학 교수 3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문항양호도, 타당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문항반응분포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과정에서 10문항을 삭제하여 28문항의 최종 도구가 개발되었으며, 문항양호도, 구인타당도, 신뢰도 검증 결과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역량 진단도구는 ‘기본역량’과 ‘수업역량’의 2개 영역 아래 ‘교수자로서의 신념과 태도’, ‘학생에 대한 태도’, ‘학교에 대한 이해’, ‘수업준비’, ‘수업실행’, ‘수업개선’의 6개 진단항목, 총 2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수역량 진단도구는 교수자의 교수역량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자의 교수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맞춤형 지원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서의 기능과 함께 대학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the elements of teaching competency required for university professors and to verify the validity by developing a teaching competency diagnosis tool.
Methods The researchers extracted the components of teaching competency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developed 78 preliminary questions. As for the preliminary questions, 38 final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the second round of expert Delphi research and expert review. To validate the final draft of the professor s competency diagnostic tool, a survey was conducted on 313 professors from S University, and the adequacy, validity, and reliability of questions were verified.
Results In the process of item response distribution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10 items were deleted and the final developed tool had 28 items. The results of item goodness,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all good. Teaching competency diagnosis tool consists of two areas: ‘basic competency’ and ‘class competency’. In the ‘basic competency’ area, there are three diagnostic items: ‘beliefs and attitudes as a teacher’, ‘attitude toward students’, and ‘understanding the school’. In the ‘class competency’ area, there are three diagnostic questions: ‘class preparation’, ‘class implementation’, and ‘class improvement’.
Conclusions Teaching competency diagnosis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analyz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professor s teaching competency and develop various programs to strengthen the professor s teaching competency. It will als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