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Supervision of Supervision(SOS) Practical Experience For a Ph.D. In Counsel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서은주(Eunjoo Seo) 권경인(Kyoungin Kw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8호, 297~31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상담 전공 박사과정 수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수퍼비전에 대한 수퍼비전(SOS) 실습 경험에 관한 것들에 대해 확인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대학원의 상담 전공 박사과정생 8명을 대상으로 2020년 10월~2021년 1월까지 개별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CQR의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2020년 11월~2021년 4월에 걸쳐 최종적으로 8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결과 첫째, 수퍼비전에 대한 수퍼비전 실습 참여자의 사전기대로는 ‘내가 수퍼바이저일 수 있는가에 대한 기본적 확인이 필요함’이 가장 주요 범주로 확인되었다. 둘째, 실습 방법으로는 ‘사전 수퍼비전의 모집과정’, ‘수퍼비전에 대한 수퍼비전 준비양식’, ‘실제 수퍼비전에 대한 수퍼비전’의 3가지 범주가 확인되었다. 셋째, 도움된 점으로는 ‘수퍼바이저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나감’, ‘전문적 기술을 습득함’ 외에 7개의 범주가 확인되었다. 넷째, 만족스러운 점으로는 ‘객관적 조망을 얻을 수 있는 안전한 훈련 공간’이 가장 주요 범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필요한 점으로는 ‘부족함을 기꺼이 드러낼 수 있는 편안한 분위기’가 가장 주요 범주로 확인되었다.
결론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수퍼바이저 양성을 위한 실제 교육과 훈련이 필요한 현 실정에 수퍼바이저 훈련 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ied some of Supervision of Supervision(SOS) practical experience within the Ph.D. course of counseling.
Methods To this end, eight Ph.D.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t a graduate school in Seoul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from October 2020 to January 2021.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CQR s method, and finally eight data were analyzed over the period of November 2020 to April 2021.
Results First, the main category was ‘need to have a basic confirmation of whether I could be a supervisor’ as a priori expectation of Supervision of Supervision practitioners. Second, three categories of practical methods were identified: ‘Recruitment Process of Pre-Supervision’, ‘Preparation for Supervision of Supervision’, and ‘Real Supervision of Supervision’. Third, seven categorie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o ‘forming an identify as a supervisor’ and ‘obtaining professional skills’. Fourth, ‘safe training space to obtain objective views’ were identified as the main category. Fifth, the most important category was the ‘comfortable atmosphere that was willing to show lack’.
Conclusions These findings mean that they provide specific implications for the supervisor training process, which can be reflected in the current situation were actual training and training are required for supervisor train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