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Effects of Using Online Remote Class and Context Materials on Enhancing Korean Learners’ English Speaking Skills
이용수 9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회(Gyeonghoe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8호, 417~43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온라인 비대면 수업과 문맥화 된 자료를 통한 한국 성인 학습자의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 효과성에 대해 탐구하였다.
방법 총 120명의 대학생들은 문맥화 된 자료의 노출 없이 교수자로부터 비대면 녹화 수업을 받은 그룹, 문맥화된 자료와 함께 녹화 수업을 받은 그룹, 문맥화된 자료 없이 실시간 Zoom 수업을 받은 그룹, 문맥화된 자료와 함께 실시간 Zoom 수업을 받은 그룹, 문맥화된 자료 없이 면대면 수업을 받은 대조그룹, 문맥화된 자료와 함께 면대면 수업을 받은 대조그룹 등 총 6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영어 말하기 능력 개발 여부를 발화묘사과업(oral narrative task)을 통해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 결과, Zoom 수업을 받은 그룹은 녹화 수업을 받은 그룹에 비해 발화묘사과업(ONT)에서 높은 수행을 보였으나 두 그룹별 차이가 크지 않았다. 그러나 대조그룹과 비교했을 경우 녹화수업과 Zoom수업 그룹이 전반적으로 높은 발화양상을 보였다. 또한 문맥화된 자료를 사용한 그룹은 사용하지 않은 그룹보다 발화묘사과업(ONT)에서 높은 수행을 보였다.
결론 즉, 문맥화된 자료의 적절한 노출을 통한 비대면 실시간/비실시간 수업은 학습자들의 영어 말하기 능력 개발에 도움을 주었고, 대조그룹에 비해 높은 과업 수행을 달성한 바, 코로나로 인해 진행되는 비대면 수업 환경 안에서 학습자의 참여를 독려하여 온라인 수업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교실활동과 상황에 따른 교수자의 문맥화된 자료 사용이 강조되는 바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online remote class and context materials considering the English grammar, vocabulary, comprehension, fluency, and pronunciation.
Methods 120 learners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performed 3 oral narrative tasks (ONT) that differed in classroom conditions (Zoom, recording, and control) and context materials (context-embed vs context-reduced).
Results A repeated measure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showed that although both Zoom and recording groups affected learner’s speaking performances positively, there were not any big difference between Zoom and recording groups. However, Zoom and recording groups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control groups. In addition, in this study, context materials influenced English speaking performances. Results showed that context- bed material groups showed better performance on the ONT, whereas no superior performance was found from context-reduced groups.
Conclusion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although comparing Zoom and recording groups, there were not any big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groups, outcomes of online remote class and context materials positively affect the development of English speaking performanc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ults
Ⅴ. Conclu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