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Clinical Nurses’ Self-leadership and Stress-Coping Type on Resili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황혜정(Hwang Hye 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8호, 679~69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유형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자료수집은 2021년 1월 01일부터 1월 15일까지 P 시에 3개 병원의 임상간호사 19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에 응답한 자료를 서술적 분석,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결과 본 연구결과, 셀프리더십은 5점만점에 3.42점, 스트레스 대처유형은 4점만점에 2.67점,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에 3.25점이 나왔다. 임상간호사의 스트레스 대처유형은 직위, 4년제 졸업이상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회복탄력성은 종교, 병원경력, 직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회복탄력성은 셀프리더십(r=.687, p<.001)과 스트레스 대처유형(r=.471,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유형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셀프리더십(β=.589, p<.001), 스트레스 대처유형(β=.182, p<.01)은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쳤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임상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유형을 향상시켜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stress-coping type on resilience in clinical nurse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survey of 197 clinical nurses in 3 hospitals located at P City from January 21 to January 15, 2021. The data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through the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core on self-leadership was 3.42 out of full score of 5 and that the score on stress-coping type was 2.67 out of the full score of 4, while the score on resilience was 3.25 out of the full score of 5. The stress-coping type of clinical nurse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post and diploma from 4-year university or higher level. The resili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religion, hospital career, and post. Moreover, the resilienc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leadership r=.687, p<.001) and stress-coping type(r=.471, p<.001). The resilience was found to be higher as the self-leadership and stress-coping type were higher. The self-leadership(β=.589, p<.001) and stress-coping type(β=.182, p<.01) had an influence on the resilience.
Conclusions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the programs capable of increasing the resilience by improving the self-leadership and stress-coping type of clinical nur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