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Factors on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Clinical Alternative Practice in the COVID-19 Situ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황인주(Hwang, Inju) 이종란(Lee, Jongl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8호, 807~81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상황에서 임상대체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임상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에 있다.
방법 자료수집은 COVID-19 상황에서 임상대체실습을 경험한 경기도 소재 간호대학 4학년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31명을 대상으로 2021년 5월 1일에서 5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수행능력은 임상실습 만족도(r=0.446, p<.001), 문제해결능력(r=0.687, p<.001), 자기주도적 학습능력(r=0.576,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임상수행능력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제해결능력(β=.477, p<.001)이었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β=.190, p=.027), 임상실습 만족도(β=.187, p=.007)의 순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50.9%이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COVID-19 상황 및 향후 포스트 COVID-19 상황에 대비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하여 임상실습 만족도,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임상실습 및 임상대체실습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 clinical alternative practice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examined the influence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y 1 to May 30, 2021 on 131 forth grade nursing students in Gyeonggi-do who experienced clinical alternative practice under the COVID-19 situation.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Results Clinical competency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r=0.446, p<.001), problem-solving ability(r=0.687, p<.001)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r=0.576, p<.001).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clinical competence was problem-solving ability(β=.477, p<.001), followed b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β=.190, p=.027)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β=.187, p=.007), and the total explanation of clinical competence was 50.9%.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alternative practice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nursing students in preparation for the COVID-19 situation and post-COVID-19 situ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