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미진(Kim, Mij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8호, 895~91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미래사회 변화와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등을 고려하여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의 개선방향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교사교육전문가 5명과 함께 현행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양성교육과정의 개선방향에 대한 포커스그룹토론(FGD)을 2회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의 개선방향으로 ‘학습자중심 교사양성교육과정’, ‘행위자성이 발현되는 맥락으로서의 교사양성교육과정’, ‘융합교과 중심 교사양성교육과정’, ‘현장밀착형 교사양성교육과정’, ‘예비교사와 함께 배우며 성장하는 교사교육자’, ‘교사양성교육과정의 체제⋅제도 개선 및 자율성 확대’가 도출되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 속에서 사유하는 교사’, ‘행위자성이 존중되는 배움의 장’, ‘관련 제도의 변화’를 중심으로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의 개선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education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onsideration of future social change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t national level.
Methods For this purpose, focus group discussion(FGD) was conducted twice with 5 experts to collect and analyze discussion data on the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learner-centered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s a context in which agency is expressed’, ‘convergence subject-centered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field-oriented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eacher educators who learn and grow together with pre-service teachers’, and ‘system improvement and autonomy of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were derived.
Conclusions The discussion was focused on ‘teacher who thinks in practice’, ‘a place of learning in the context of agency’, and ‘change in related syste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