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Daily Hassles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안태용(Taeyong AHN) 강선모(Sun-Mo KANG) 임혜경(Hye-Kyeong LIM)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8권4호, 335~35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후기 청소년기를 대상으로 침습적 반추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자기자비가 매개하는지 알아보고,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조절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만 19∼24세 후기 청소년기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53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침습적 반추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유의미한 양(+)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자기자비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자비의 매개효과가 일상생활 스트레스에 의해 조절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불안 감소를 위한 개입에 있어 자기자비의 증진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스트레스의 자각 및 조절 능력 증진을 위한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self-compass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in late adolescence and to find out whether daily hassles moderate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aged 19-24 years of age nationwide, and data from a total of 533 people were colle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Second, daily hassles were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social anxiety.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daily hassles moder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was found.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interventions to improve self-compassion and awareness and control daily hassles to reduce social anxiety. The study s findings and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some suggestions were mad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