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IC & MDL Algorithm Based on Beamspace, for Efficient Estimation of the Number of Signals
- 발행기관
- 한국전자통신학회
- 저자명
- 박희선(Heui-Seon Park) 황석승(Suk-Seung Hw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제16권 제4호, 617~62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0

국문 초록
도래각 추정, 간섭제거, 신호 수신 등을 위해 수신신호에 포함되는 신호의 개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신호 개수 추정 알고리즘으로 AIC(: Akaike Information Criterion)와 MDL(: Minimum Description Length) 알고리즘이 있는데, 이들 알고리즘은 각 기준이 최소화되는 값을 찾아 신호의 개수를 추정한다. 수신기의 배열 안테나 요소 개수가 증가하면 추정 성능이 향상되지만, 최소값을 찾기 위해 모든 안테나 요소에 대한 기준값을 계산하여야 하므로 복잡도가 크게 증가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빔공간 처리를 통해 차원을 축소시켜 계산량을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신호의 개수를 추정할 수 있는 빔공간 기반의 AIC와 MDL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다양한 시나리오 기반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고 분석한다.
영문 초록
The accurate estimation of the number of signals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is required for the AOA(: Angle-of-Arrival) estimation, the interference suppression, the signal reception, etc. AIC(: Akaike Information Criterion) and MDL(: Minimum Description Length) algorithms, which are known as the typical algorithms to estimate the signal number, estimate the number of signals according to the minimum of each criterion. As the number of antenna elements increased, the estimation performance is enhanced, but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is increased because values of criteria for entire antenna elements should be calculated for finding their minimum. 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in this paper, we propose AIC and MDL algorithms based on the beamspace, which efficiently estimate the number of signals while reducing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by reducing the dimension of an array antenna through the beamspace processing. In addition, we provide computer simulation results based on various scenarios for evaluating and analysing the estimation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s.
목차
Ⅰ. 서론
Ⅱ. 수신신호 모델
Ⅲ. 빔공간 기반 신호 개수 추정 기법
Ⅳ. 컴퓨터 시뮬레이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