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Kinematic Analysis of Success and Failure in Performing Handstand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철희(Park, Cheol-Hee) 오준석(Oh, Joon-Se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6호, 253~26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물구나무서기 동작 수행 시의 성공과 실패에 따른 운동역학적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G체육중⋅고등학교 기계체조 선수 5명(나이: 17.4±1.34세, 신장: 152.8±9.91cm, 체중: 44.2±11.69kg중, 경력: 6±1.58년)이 실험에 참여하였고, 5대의 적외선 카메라와 지면반력기를 활용하여 성공과 실패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첫째, 수직가속도는 P4구간에서 성공동작이 실패동작보다 느렸다. 둘째, 전진선속도는 P5구간에서 성공동작이 실패동작보다 빨랐다. 셋째, 압력중심 속도는 0.5초 전 구간에서 성공동작이 실패동작보다 느렸으며, 0.5초 후 구간에서는 성공동작이 빨랐다. 그리고 압력중심 궤적은 성공동작이 실패동작보다 작은 움직임을 보였다.
결론 종합해보면 물구나무서기 동작은 양손이 지면에 닿는 구간부터 왼발이 지면에서 이륙 구간까지 전반적으로 속도 조절이 매우 중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향후, 물구나무서기 동작 시에 하지 지면반력과 상지 근활성도 간의 관련성을 규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kinematic difference between the success and failure of performing a handstand.
Methods To this end, five gymnastics athletes of G Physical Education Middle and High Schools(age: 17.4±1.34 years, height: 152.8±9.91cm, weight: 44.2±11.69kg, experience: 6±1.58 yea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five infrared cameras and a ground reaction force plate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vertical acceleration of the successful movement was slower than that of the failed movement in the P4 section. Second, the forward linear velocity of successful movement was faster than that of the failed movement in the P5 section. Third, the center of pressure velocity of the successful movement was slower than that of the failed movement in the section before 0.5 second, and faster in the section after 0.5 second.
Conclusions A smaller movement was shown for the center of pressure trajectory of the successful movement than that of the failed movement. In sum, for the handstand movement, it is very important to control the speed overall from the section where both hands touch the ground to the section where the left foot takes off from the ground. Regarding this, it is necessary, in the futu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nd reaction force of lower limbs and the muscle activity of upper limbs in the handstand move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