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representation activity using clay on young children s creative art expression and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애(Lee, Jeong A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6호, 465~47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점토를 활용한 표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미술표현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G 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5세 유아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각각 23명, 총 46명 선정하였다. 선행연구 및 문헌분석을 통해 점토를 활용한 표상활동을 구성하여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점토를 활용한 표상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교집단 유아에게는 일반적인 미술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자료분석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및 사후 점수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점토를 활용한 표상활동은 유아의 창의적 미술표현력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점토를 활용한 표상활동에 참여한 유아들이 입체적 표상매체인 점토를 활용하여 자유롭게 생각하고 표현함으로써 창의적 미술표현력의 향상을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 향상을 가져왔음을 알 수 잇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창의적 미술표현력 및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써 점토를 활용한 표상활동이 의미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representation activity using clay on young chilren s creative art expression and self-efficacy.
Method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5-year-old young children residing in G metropolitan city, and a total of 46 were selected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23 each. First, a representation activity using clay was construct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analysis. Next,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ade to perform representation activities using clay, and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were made to perform general art activities. For data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on the pre-scores and post-scores of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representation activity using cla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 s creative art expression and self-efficacy. This shows that young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representation activity using clay not only improved creative art expression but also improved self-efficacy by using clay, a three-dimensional representation medium.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presentation activities using clay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can be a meaningful alternative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enhance children s creative art expression and self-effica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