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hanges in the creative personality of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using a digital curation syste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정진(Jeongjin Youn) 정수정(Sujeong Jeong) 임홍남(Hongnam 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6호, 567~59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디지털 큐레이션 시스템을 활용한 영상기반 창의⋅인성 교양강좌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창의⋅인성 변화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 교양강과를 수강한 B시의 D대학교 대학생에게 설문을 배부하였으며, 그 중 자발적 참여자 56명이 연구 참여자로 선정되었다. 이 중 응답이 부족한 1부의 설문을 제외하고 최종 55명의 연구 참여자의 설문을 개방코딩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교양강좌를 수강한 대학생들은 여러 상황을 경험하고 새로운 산출물을 생성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증진되었으며, 자신의 생각을 돌아보고, 자기이해를 재정립해나가게 되었다고 밝혔다. 또 다르게 생각하고, 폭넓게 수용하며 관점이 확장되었다고 밝히며 창의⋅인성이 함양되었다고 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변화하는 시대 흐름에 맞춰 비대면 온라인 학습 플랫폼으로써의 교육 방법으로 요구되는 창의⋅인성을 교육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소개와 함께 그에 참여한 학생들의 이야기를 들어봄으로써 미래 창의⋅인성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길잡이가 되어줄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the change of creative personality of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eneral education on image-based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using a digital curation system was examined.
Method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university students at University D in B city who had taken this general education, and among them, 56 voluntary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Of these, the questionnaires of the final 55 research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the open coding method, except for the first part of the questionnaire with insufficient responses.
Results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this general education said that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were improved in that they experienced various situations and created new products, and they were able to reflect on their own thoughts and redefine their understanding. In addition, they said that they thought differently, accepted widely, and that their point of view was expanded and that their creativity was cultivated.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future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by listening to the stories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it along with an introduction to the method that can educate the creative personality required as an educational method as a non-face-to-face online learning platform in line with the changing trends of the times. It is thought to be meaningful as a study that will serve as a guide for present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