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Neurosis Personality and Parenting Stress: Testing Parallel Multiple Mediator Effec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권다영(Kwon, Dayoung) 강승희(Kang, Seung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6호, 895~90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매개하는지, 하나의 모형 내에서 여러 변인의 매개효과를 동시에 추정하는 병렬다중매개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P시의 만36개월 이하의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들 304명에게 신경증적 성격특성,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PROCESS macro의 병렬다중매개모형 검증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상관분석 결과,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양육스트레스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과 양육스트레스, 사회적지지와 양육스트레스 간에,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회복탄력성,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사회적지지 간에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병렬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지만, 회복탄력성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없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이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본인의 개인내적 특성인 회복탄력성 보다는 사회적 지지와 같은 집단수준의 대인관계 변인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함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uroticism in a mother’s personality and parenting stress and to verify the parallel multiple mediator effec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Methods Participants in the study included 304 mothers who had a child of under 36 months of age and who were asked to report on their personality,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Correlational analyses reveal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neuroticism and parenting stress.
Results The analyses also fou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a mother’s neuroticism and resilience, as well as her neuroticism and social support. The results from a parallel multiple mediator effects analysis, which predicts simultaneous mediation effect with one model, demonstrated that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who reported high levels of neuroticism and parenting stress, while resilience did not have such an effect on the mother’s stress level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ocial support, which was experienced in various social contexts, may have greater impacts on parenting stress than resilience among mothers of children under 36 months of age. Oth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