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General public servant on job Attitudes: A Mediating Effect of Positive⋅negative Affec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서향희(Seo, Hyang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5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과정을 분석하고 아울러 양자 사이에 긍정적⋅부정적 정서가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최근 들어 우리 사회에서 가장 큰 변혁의 시기를 겪고 있는 국내 대학들의 행정직원들을 대상으로 검증하는 데 있다.
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전국 11개 국립대학교의 과장급이하의 일반직원(공무원) 700명을 대상으로 직접 또는 우편방식에 의한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유효한 484부를 통계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변혁적 리더십이 긍정적⋅부정적 정서에 영향을 미침은 물론이고 긍정적⋅부정적 정서 또한 대체로 행정직원의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아울러 긍정적⋅부정적 정서는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정의 관계에서 대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attitud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negative a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attitudes.
Methods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on 700 administrative staffs (public servants) under middle managers in 11 national universities nationwide. A total of 484 questionnaires were used to test the hypothes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ositive⋅negative affect of administrative staffs. Second, positive⋅negative affect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attitudes of administrative employees except for the negative affect on job commitment. Third, positive⋅negative affects were found to large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attitudes.
Conclusions Finally,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we further discussed and suggested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