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lications of Popper s Philosophy on Social Studies Education Evalu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호범(Cheong Ho-bhu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5호, 403~41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포퍼의 철학 사상이 사회과 교육평가에 미칠 수 있는 함의를 추출하는데 있다.
방법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포퍼의 철학에 바탕을 두는 대안적 평가관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과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대안적 평가관이 추출되었다. 첫째 문제해결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평가, 둘째 비판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는 평가, 셋째 지식의 성장 논리에 근거한 평가, 넷째 가설-연역적 탐구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평가, 다섯째 상상력을 기를 수 있는 평가, 여섯째 정답 찾기에서 오류 찾기로의 전환 등이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과 교육평가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지평을 확장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implications that Popper s philosophical ideas can have on social studies education evaluation.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n alternative evaluation point of view based on Popper s philosophical perspective was searched in the social studies evaluation, and based on this, an evaluation tool that can be applied to social studies education was developed.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alternative evaluation point of view were extracted. First, evaluation to experience the problem-solving process, second evaluation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ability, third evaluation based on the logic of knowledge growth, fourth evaluation to experience hypothesis-deductive inquiry process, fifth evaluation to nurture imagination, sixth transition from finding the correct answer to finding the error, etc.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expan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horizons for evaluation of social studies educ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문제해결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평가
Ⅲ. 비판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는 평가
Ⅳ. 지식의 성장 논리에 근거한 평가
Ⅴ. 가설-연역적 탐구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평가
Ⅵ. 상상력을 기를 수 있는 평가
Ⅶ. 정답 찾기에서 오류 찾기로의 전환
Ⅷ.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