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Non-face-to-face Learner-centered Classes and Differences in Competencies According to Student Variabl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명희(Myunghee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5호, 523~53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비대면으로 이루어진 학습자 중심 수업이 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학습자 배경변인 및 수업참여수준, 수업전반만족수준, 학업성취인식수준에 따른 역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방법 충남 소재 S대학에서 2020년 2학기에 학습자 중심 수업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22명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Statistics 25를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정 및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비대면 학습자 중심 수업 후, 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수업참여수준, 수업전반만족수준, 학업성취인식수준 상위집단의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이 하위집단의 능력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학년, 소속 단과대에 따른 능력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연구의 결과는 비대면 학습자 중심 수업이 학생의 역량 증진에 효과적일 수 있으며, 학생의 수업 참여 및 만족수준, 학업성취인식수준이 역량 제고에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on-face-to-face learner-centered classes on students’ communica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as well as the differences in these competencies according to student background variables, class participation levels, overall class satisfaction levels, and academic achievement perception levels.
Methods To collect data, pre and post online surveys were conducted for students who had taken learner-centered classe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t S University, and a total of 222 students responded.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reliability analyses,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s, and analyses of covariance (ANCOVAs) were performed using SPSS Statistics 25.
Results After non-face-to-face learner-centered classes,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i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abiliti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of the group with higher class participation levels, overall class satisfaction levels, and academic achievement perception level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group with lower level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bilities according to gender, grade, or departme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on-face-to-face learner-centered classes can be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 competencies, and that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levels, overall class satisfaction levels, and academic achievement perception levels are important factors in enhancing their competenc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