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user experience analysis of high school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metavers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태형(Taehyeong Lim) 양은별(Eunbyul Yang) 김국현(Kukhyeon Kim) 류지헌(Jeeheon Ry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5호, 679~69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15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고등학생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용자의 경험을 분석한 것이다.
방법 메타버스 기반 고등학생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2020년 10월 중 2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광주 및 전남권역 10개 고등학교의 147명의 학생들이 원격으로 참여한 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응답 수는 55명(37%)이었다. 설문 내용은 사용자 경험의 8가지 영역에 대한 단일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리커트 5점 척도가 적용되었다.
결과 메타버스를 활용한 고등학생 진로체험은 상당히 흥미롭고 새로운 것으로 인식되었다. 또한 이러한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진로체험의 운영이라는 점에서는 미흡한 점이 적지 않았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진로체험 활성화를 위해서는 운영전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결론 코로나로 인해 많은 진로체험이 제한된 상황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한 진로체험은 학생들에게 새로운 시도로 이해되었으며,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메타버스 환경에서 학습자의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운영전략과 활용방법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users who participated in the high school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Methods The program was held twice in October 2020. After remote participation of 147 students from 10 high school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e number of survey responses was 55(37%).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single question of eight areas of user experience, and a Likert 5-point scale was applied.
Results The result showed that very high satisfaction and interest were answered. However, the user experience was a relatively lower score on the platform. These results showed that it was not successful to manage the program.
Conclusions First, the metaverse can be an effective method to encourage student active participation. Second, it is important to design proper strategies to meet the user’s needs. For further study, we need to identify proper management strategi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