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은영(Eun-Young Jeon) 김보강(Bo-Ga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5호, 723~73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15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다독이 EFL 아동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교수법이 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며 또한 아동 학습자들의 다독에 대한 인식과 동기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본 연구는 5명의 EFL아동학습자들의 읽기 과정과 읽기 행위를 일 년 반 동안 관찰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아동들의 영어 읽기 기록지와 설문조사, 그림들, 그리고 인터뷰로 이루어져 있다.
결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기록지는 아동들의 읽기 능력 발달과 그들이 읽은 책의 숫자가 비례함을 보여주었다. 둘째, 메타포 분석(the metaphor analysis)을 통해 아동학습자들이 다독을 영어와 세상을 배울 수 있는 유용한 학습도구로 인식하면서도 길거나 어려운 책을 읽을 때는 다독의 과정이 달팽이처럼 느리고 더디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EFL아동 학습자들의 영어책 읽기에 대한 동기는 내적 동기보다는 외적 동기가 더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는 선생님들과 학부모님들이 아동 영어 학습자들이 더 많은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안팎으로 협력해야 하며 또한 아동 영어학습자들이 영어책을 즐기면서 읽을 수 있는 경험을 할 때까지 외적인 보상도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whether extensive reading (ER) can be an effective teaching approach for teaching English to young learners and to investigate the young EFL learners’ perception and motivation for ER.
Methods The present study observed 5 young male EFL learners’ reading progress and reading behaviors for one and a half year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students’ surveys, reading records, pictures, and interviews.
Resul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ading record showed that the students’ reading progress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books they read. Second, the metaph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learners perceived ER to be an effective tool for developing English competence and gaining knowledge about the world. However, when reading difficult or lengthy books, ER process was perceived to be slow and lagging like a snail. Finally, most young English learners were driven to read not because of intrinsic motivation but because of extrinsic motivation.
Conclusions It is suggested that teachers and parents should work together to motivate students to read more books. Also, external rewards could be helpful up to the point when the students come to experience the joy of reading.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ults and Discussion
Ⅴ. Conclusion and Sugges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