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Preliminary Study on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to Teaching Practice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수(Kim, Ji Su) 박승희(Park, Seung 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5호, 915~93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를 위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개념과 플립러닝 수업의 특색을 제시하고, 발달장애(지적장애, 자폐성장애) 학생을 위한 플립러닝 적용 및 지원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플립러닝 관련 국내외 총 46편의 문헌(국내 29편, 국외 17편) 분석 및 일반교육 및 특수교육 전문가 5명과의 협의회를 실시하였고,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플립러닝 적용방안에 대하여 2명 전문가의 검토를 받았다.
결과 첫째, 일반 수업과 플립러닝 수업을 비교하며 플립러닝의 개념을 6가지로 판별하였고,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을 위한 플립러닝 적용 수업의 특색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발달장애 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분리수업’에서 플립러닝의 적용 절차, 기능적 기술 교수를 위한 플립러닝 적용 수업계획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셋째, 일반학급에서 플립러닝 적용 ‘통합수업’에 발달장애 학생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일반교사, 특수교사, 특수교육보조인력 및 학부모의 역할 목록을 판별하여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발달장애 학생 수업의 질 제고를 위해 특수교사를 위한 플립러닝의 개념과 특색, 분리수업에서의 플립러닝 적용방안 및 플립러닝 적용 통합수업에 발달장애 학생의 참여 지원방안을 처음으로 탐색해 제시한 예비연구 성격을 지닌다. 끝으로 특수교육 현장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연구의 제한점을 지적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hreefold: First, to provide the concept of flipped learning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lipped classroom strategies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to suggest methods for adapting flipped learning in special and separate classe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D) and third, to provide support methods for students with DD participating in flipped learning in inclusive classrooms.
Methods A total of 46 articles regarding flipped learning were analyzed and the consultation from five education experts in the field were sought. The application procedures and examplary lesson plans of flipped learning for students with DD was completed through a review process by two special education experts.
Results First, the concept of flipped class for students with DD in comparison with general class was identified. Furthermore, distinct features of flipped learning for both those students with and without DD were presented. Second, a plan where a special education teacher applied flipped learning directly in a separate class designed to teach functional skills to students with DD, was introduced. Third, for students with DD participating in inclusive flipped classroom, the role inventory of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aprofessionals, and parents was identified and confirmed to enhance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D in inclusive classes where flipped learning was applied.
Conclusions This preliminary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and strategies for adopting flipped learning for students with DD to advance the quality of teaching practices in separate and inclusive classes. It presents a forum for discussion on further topics related to applying flipped learning to teaching practices for students with D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특수교사를 위한 플립러닝의 개념과 적용 수업의 특색
Ⅳ.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플립러닝 적용방안 탐색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