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spects of Recognition and Educational Contents of Taste Adjectives in Korean: Focused on Chinese learn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려(Jin L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4호, 55~6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미각 형용사 의미에 대한 인식 양상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중국인 고급 학습자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사후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조사 결과는 크게 의미 판단 기준 인식과 어휘 선택 경향 인식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째, 의미 판단 기준은 의미 가치, 신체적 상태, 심리적 감각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었다. 둘째, 어휘 선택 경향은 원형적 선택, 신체적 선택, 수준적 선택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인식 양상에 따라 언어 능력과 의미 인지의 유기적인 관계를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언어 능력에 의한 한⋅중 의미 차이, 기본 형용사와 파생 형용사의 의미 차이, ‘짜다’류 형용사 세 가지 교육 내용으로 분류되며 의미 인지에 따라 교육 내용의 조직 방식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미각 형용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미각 형용사를 잘못 이해하거나 잘못 표현하는 것에 대한 이유를 밝히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조사의 설계와 인식 양상의 분석은 그간의 논의들을 보충하여 체계적으로 검토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Chinese learners’ perception of the meaning of Korean taste adjectives and to select efficient educational contents for Chinese learners based on the results.
Method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survey of 50 advanced Chinese learners was conducted.
Results The findings wer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semantic judgment criterion recognition and lexical selection trend recognition. The first palate adjective semantic judgment criterion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semantic value, physical state, and psychological sense. Second, vocabulary selection trends are divided into circular choices, associative choices, and level choices. According to the cognitive forms, we reveal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linguistic ability and semantic cognition. Based on this, it is classified into three educational contents: the difference in meaning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e difference in meaning between basic and derived adjectives, and the “salty” type adjectives.
Conclusions The study found out how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perceive Korean taste adjectives. It can help Chinese learners to understand or misrepresent Korean taste adjectives, and the analysis of the design and perception aspects of the survey is meaningful in that they review them systematically by supplementing their discuss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