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Smartphone Dependence and Adolescent s Smartphone Depend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Adolescent s Depress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승희(Cho Seung Hui) 조안나(Cho An N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4호, 369~37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의 관계에서 부모의 부정적 양육 태도와 청소년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 2018(KCYPS 2018)을 활용 하였다. 총 2,590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측정모형검증을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첫째,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 사이에서 부모의 부정적 양육 태도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은 부모의 부정적 양육 태도를 부추겨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영향을 준다. 둘째,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 관계에서 청소년 우울은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청소년 우울은 청소년 스마트폰 의존을 높이지만,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이 청소년 우울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의 관계에서 부모의 부정적 양육 태도와 청소년 우울의 이중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따라서 부모가 스마트폰에 의존적일수록 자녀에게 부정적인 양육 태도를 가지게 되고, 이는 청소년 우울함에 영향을 미쳐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에 따른 부정적 양육 태도의 위험성을 논의하고 청소년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부모⋅자녀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um effects of parental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adolescent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martphone dependence and adolescent smartphone dependence.
Methods For this purpose, KCYPS 2018 was us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A total of 2,590 people were studi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Result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 is mediated between their parents 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teenagers dependence on smartphones. In other words, parents dependence on smartphones encourages parents negative parenting, which affects teenagers dependence on smartphones. Second, adolescent depression had no significant medium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adolescents dependence on smartphones. Adolescent depression increases dependence on teenagers smartphones, but parents dependence on smartphones does not affect youth depression. Third, the double-mediated effects of parental negative parenting and adolescent depress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smartphone dependence and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e. Therefore, the more dependent parents are on smartphones, the mor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they have on their children, which affects adolescent depression and increases teenagers dependence on smartphone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the risks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due to parents 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suggests parents education measures for correct smartphone use by adolesc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