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eacher communication method evaluation in online class: Focusing on online teacher dialogue method using meta-conversation analysis method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윤정(Kim Yune J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4호, 501~5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수업에서의 교사화법 평가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메타 대화 분석 방식의 온라인 교사화법 수업 모형을 적용한 교사화법 수업 사례를 제시하고 그 과정에서 이루어진 화법 평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수업에서의 교사화법 평가 요소를 추출하고, 온라인 교사화법 평가 점검표를 제시하였다.
방법 인천 소재 교육대학교 학생 68명의 말하기에 대한 SWOT 분석, 3분 스피치 동료평가, 온라인 수업 시연에 대한 동료평가, 자기평가 자료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평가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학습자들이 생각하는 온라인 교사화법 평가 기준, 평가 범주 및 세부 내용 요소를 추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온라인 교사화법 평가 범주는 비언어, 부정적 언어 습관, 말하기 불안, 준언어, 수업 운영, 수업자료, 학생 상호작용으로 구분되었다. 범주별로 세부 평가 요소가 구체적으로 추출되었으며, 이를 반영하여 온라인 교사화법 평가 점검표를 제시하였다. 온라인 교사화법 평가는 학생 입장을 고려한 공감적 평가, 교사화법 문제의 원인 파악에 도움을 주는 분석적 평가, 교사화법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처방적 평가, 향후 수업 기획에 도움을 주는 미래지향적 평가의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메타 대화 분석 단계를 활용한 온라인 교사학습 수업에서 실시된 교사화법 평가분석을 통해 온라인 교사화법의 평가 요소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온라인 교사화법 분석 단계에서 학습자들은 자신의 말하기를 성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준언어와 비언어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 평가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메타적으로 자신의 교사화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면서 전반적인 수업 운영, 학습자와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한 효과적이고 통합적인 의사소통 전략으로서의 교사화법을 기획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evaluate teacher communication methods in online classes. To this end, we present examples of teacher dialogue lessons conducted by applying the online teacher dialogue method class model of the meta dialogue analysis method, and extract the evaluation elements of teacher dialogue method in the online class based on the dialogue method evaluation analysis results made in the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evaluation of speech method.
Methods The SWOT analysis, 3-minute speech peer evaluation, peer 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data of 68 students from I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analyze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the evaluation, the online teacher communication method evaluation standards, evaluation categories, and detailed content elements that learners think were extrac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online teacher communication method evaluation categories were divided into non-verbal, negative language habits, speaking anxiety, anti-linguistics, class operation, class materials, and student interaction. Detailed evaluation elements for each category were specifically extracted, and the online teacher communication method evaluation checklist was presented by reflecting this. The online teacher speech evaluation is characterized by empathic evaluatio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student s position, an analytical evaluation that helps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teacher speech problem, a prescriptive evaluation that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teacher speech, and a future-oriented evaluation that helps in planning future classes. I was able to confirm that I had it.
Conclusions Through the evaluation analysis of the teacher communication method conducted in the online teacher learning class using the meta dialogue analysis stage,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evaluation elements of the online teacher communication method in detail. In the online teacher communication method analysis stage, learners go through a process of reflecting on their own speech, and specific and detailed evaluations of anti-verbal and non-verbal are made. In addition, while meta-analyzing one s own teacher s communication method in depth, it is possible to plan the teacher communication method as an effective and integrated communication strategy for overall class operation and smooth interaction with learn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내용과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