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evaluation tool for distance education contents for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양수영(Yang, su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4호, 637~65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대상 원격교육 콘텐츠의 질 관리를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문헌 연구 및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평가도구를 개발하였고, 내용타당도를 구하였다. 타당화 연구를 위해 유치원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도구를 활용해 교육부 i-누리 포털사이트에 올려 진 원격교육 콘텐츠를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Amos 21.0프로그램과 SPSS 23.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FA)과 상관 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총 35개 문항의 평가도구를 개발하였고, 내용타당도 검증 결과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적합도가 양호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고, 구인타당도 검증 결과 요인 부하량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치이며, 상관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서도 도구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를 통해 유아 대상 원격교육 콘텐츠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질 관리를 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향후 뉴노멀 시대에 유아 대상 원격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valuation tool for quality management of distance education contents for young children, and to verify its validity.
Methods For this, literature research and expert meetings were conducted to develop tools, and content validity was obtained. To stud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tool, a total of 207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by evaluating the distance education contents posted on the i-Nuri portal sit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using the developed tool. For the collected dat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Amos 21.0 program and the SPSS 23.0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an evaluation tool with a total of 35 items was developed, and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to be good. In addition,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odel fit was at a good level, and the verification of construct validity showed that the factor loadings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validity of the tool was confirm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Conclusions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that an evaluation tool was developed that can manage the quality of distance education contents for young children, and it will be a basic data that suggests the direction of distan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the future New Normal er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