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n Acculturation Str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Acculturation Typ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Jambal Minjinlkha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4호, 881~89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재한 몽골 중⋅고등학생의 한국어 능력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화적응 유형의 조절효과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독립변인은 한국어 능력, 종속변인은 문화적응 스트레스, 조절변인으로 문화적응 유형을 설정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방법 본 연구의 모집단은 재한몽골학교 중⋅고등학생이고, 비확률적 표본추출방법으로 52명(남자: 32명, 여자 20명)을 추출하여 2021.05.10.-2021.05.14.일까지 자료를 수집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능력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관계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한국어 능력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어 능력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관계에서 문화적응 유형인 통합, 동화, 분리, 주변화 중 통합유형에서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어 교육 향상 방안으로 방과 후 시간에 문화를 통한 한국어 교육을 추가할 필요가 있고, 재한몽골학교 교육과정을 통합 유형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즉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 향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한국문화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정책적⋅제도적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oderating effect of acculturation type on the effect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n acculturation str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level of proficiency in Korean, the dependent variable was acculturation stress, and the acculturation type was set as the conditioning variable,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examined through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ethod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is Mongoli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52 people (32 men and 20 women) were extracted using a non-probable sampling method and collected data from 2021.05.10.- 2021.05.14.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general characteristic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roficiency and the stress of acculturation showed a negative (-) correl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Korean proficiency had a negative (-) effect on acculturation stress. Third, among the acculturation types, integration, assimilation,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nly in the integration type in relation to the l Korean proficiency and the stress of acculturation.
Conclusions To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ad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culture to after-school classroom teaching, and the curriculum in International Mongolia School should be implemented as an integrated type.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