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ception about Leisure Activity among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Secondary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리(Kim, Hye-Ri)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1권 제2호, 97~11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지체장애학생의 여가활동에 대한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여가활용 교육을 위한 지원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경남 지역의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체장애를 가진 중·고등학생 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결과: 첫째, 중·고등학교 지체장애학생은 여가활동에 대한 필요도나 참여의지가 높게 나타났으나, 여가활동에 대한 정보 부족을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중·고등학교 지체장애학생은 여가활동에 대해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나, 여가활동을 위한 시설이나 교통편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중·고등학교 지체장애학생의 여가활용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on leisure time to pose an effective way for leisur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Method: Survey was employed with 62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 and classes from Busan-Gyeongnam district. Results: Although the needs and willingness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leisure time was highly ranked they felt difficulties due to the information shortag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satisfied with leisure activity. On the other hand, they had negative a negative perception on both transportation system and leisure facilities. Conclusion: The author argued about efficient alternatives in leisure education for physical disability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