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Oper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Teacher Training Courses for Teaching Practical Arts at Special Schools - Based on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채희태(Chae, Hee-Tae)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2권 제4호, 91~11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0.30
국문 초록
2009년부터 특수학교 실과 교과가 신설되면서 교사양성과정에서 실과 교사교육과정 운영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2009년 1학기에 특수아 실과 지도 강좌를 개설하여 실과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먼저 특수학교 실과를 현상학적 관점에서 해석하였고 그 관점을 바탕으로 15주간의 강의 계획을 수립하였다. 15주의 강의 계획은 크게 도입, 전개, 정리의 3단계로 구성하였으며 간 단계별로 교사교육의 방법을 구안하였다. 실과가 통합교과인 점을 감안하여 타교과와의 관련성 분석과 단원 주제에 대한 분석 방법을 예시적으로 소개하였다. 전체적으로는 갓 시작된 특수학교 실과교육 및 양성과정 운영에 대한 이해를 높이려고 하였다.
영문 초록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practical arts subject at special schools from 2009, it is required to operate practical arts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teacher training courses. Thus, this study designed a practical arts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be used in the practical arts clas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1st semester of 2009. First, we interpreted special school practical arts from a phenomenological viewpoint, and made a 15-week lecture plan based on the viewpoint. The 15-week lecture plan was composed of three stages, which were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conclusion, and teacher education methods were designed for each stage. Considering that practical arts is an integrated subject, we presented illustratively methods of analyzing relevancy to other subjects and unit themes. As a whole, we aimed to enha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oper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eaching training at special schools.
목차
I. 서 론
II. 장애학생을 위한 실과 교육의 이해와 기본 원칙
III. 특수학교 실과 교육과정의 분석적 고찰
IV. 특수아 실과 지도를 위한 예비 특수교사 교육프로그램 설계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