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Two AAC Modes for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문현미(Mun, Hyun-Mi) 한경임(Han, Kyung-Im)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2권 제4호, 321~34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0.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유아를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 방법 중 과 사진의사소통과 손짓기호 체계의 두 가지 양식의 상대적인 효과성을 비교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5세이며 5가지 이하의 기능적인 단어만 표현하거나 전혀 표현하지 못하는 뇌성마비 남자 유아 2명이었다. 연구설계는 각 대상 유아에게 교대중재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단계, 중재 단계, 일반화 단계로 구성되었다. 자료는 자발적인 요구하기 정반응과 단어 발성 빈도에 대한 사건기록체계를 사용하여 수집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재 초기 단계에서는 연구 대상 유아 모두 손짓기호 체계보다 사진의사소통 판을 사용한 직접 선택에서 자발적인 요구하기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화 단계에서는 한 유아는 손짓기호에서 자발적인 요구하기 비율이 높은 반면 다른 유아는 사진의사소통에서 자발적 요구하기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두 유아 모두 중개 기간 동안 자발화 비율은 사진의사소통 판보다 손짓기호 체계에서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d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two modes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icture communication board and manual sign system. Two boys with cerebral palsy using none or less than 5 functional words, in the age of 5,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tudy used an alternating treatments design within each subject: initial base line phase, treatment phase, and generalization. Data was collected using event recording system for occurrence of correct spontaneous mands and word vocalization.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direct selection(pointing) using picture communication board produced higher rates in its improvement in correct spontaneous mands for two participants than manual sign system, especially in the initial phase of treatment. In the phase of generalization, one child showed more improved spontaneous and correct mands using manual sign system, the other child showed more increased mands using picture communication board. Second, manual sign system produced more enhanced spontaneous word vocalizations for two participants with few functional words than picture communication board. This study compared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two modes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icture communication board and manual sign system. Two boys with cerebral palsy using none or less than 5 functional words, in the age of 5,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tudy used an alternating treatments design within each subject: initial base line phase, treatment phase, and generalization. Data was collected using event recording system for occurrence of correct spontaneous mands and word vocalization.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direct selection(pointing) using picture communication board produced higher rates in its improvement in correct spontaneous mands for two participants than manual sign system, especially in the initial phase of treatment. In the phase of generalization, one child showed more improved spontaneous and correct mands using manual sign system, the other child showed more increased mands using picture communication board. Second, manual sign system produced more enhanced spontaneous word vocalizations for two participants with few functional words than picture communication boar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