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eriences of related professionals regarding the School-based therapeutic support system and Collaborative team approach system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표윤희(Pyo, Yun-Hui)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9권 제2호, 25~5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국문 초록
학교 기반의 치료지원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은 익히 알고 있지만 여전히 학교 기반의 치료지원 및 협력적 팀 접근의 활성화가 부족하고 학교 기반 치료지원을 선택하였어도 여러 장벽과 방해요인이 존재하여 어려움에 부딪히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 기반 치료지원 체계 및 협력적 팀 접근 체계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일반학교,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학교 기반의 치료지원을 경험한 교사, 부모, 치료사 16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3개의 대주제와 11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3개의 대주제는 (1) 학교 기반 치료지원 체계 및 협력적 팀 접근 체계에 대한 긍정적 경험, (2) 학교 기반 치료지원 체계 및 협력적 팀 접근 체계에 대한 부정적 경험, (3) 학교 기반 치료지원 체계 및 협력적 팀 접근 체계 개선 방안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학교 기반 치료지원 실행 장벽 해소 방안, 협력적 팀 접근 중재 실행의 내실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tinent practice plan of the school-based therapeutic support and collaborative team approach system through the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professionals experiences. To collect data,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Seven special educators, Three parents and Six therapists were interview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three themes and eleven sub-themes were emerged : (1) positive experience about school-based therapeutic support system and collaborative team approach system, (2) negative experience about school-based therapeutic support system and collaborative team approach system, (3) pertinent practice plan of school-based therapeutic support system and collaborative team approach system. Finally, discussion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school-based therapeutic support and collaborative team approach system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