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Art Therapy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이근매(Lee, Keun-Mae) 옥선형(Ok, Sun-Hyoung)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9권 제2호, 209~23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15년간 장애자녀를 둔 부모 대상 미술치료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장애자녀를 둔 부모 대상 미술치료의 구체적인 연구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총 57편의 논문을 연도별, 연구대상 수, 연구방법별, 연구내용별로 빈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자녀를 둔 부모 대상 미술치료 연구는 연도별 증가추세를 보이며, 연구대상 수는 5~10명의 집단원을 구성하는 혼합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통제집단설계와 단일집단설계를 많이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장애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회기는 개별과 집단 모두 11~15회기, 개별과 집단 모두 주 1회, 회당 개별의 경우 40~60분이나 61~90분, 집단의 경우 61~90분을 가장 선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내용별 동향은 양육스트레스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우울, 양육태도, 자기효능감, 양육효능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객관적 측정도구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림투사검사와 객관적 측정도구를 혼합하여 활용하였다, 치료기법 또한 혼합기법을 주로 활용하며, 단일기법의 경우 대체로 콜라주와 만다라를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specific direction of research for art therapy as to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analyzing the trend of published journals for 15 years, the trend examining the effect of the art therapy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frequency analysis of all 57 journals were statistically conducted according to the year, the number of subjects, method, and content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rend showed that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annually increases and that the most common way to study was mixed method study compromised 5 to 10 subjects. In addition, many researches adjusted experimental-control group design or single group design. Next, the subjects expressed preference for the treatment period which was 11 through 15 sessions and once a week for both individuals and group. The treatment time was 40 to 60 minutes for the individuals and 61 to 90 minutes for the groups. Lastly, the trends of study theme showed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child-rearing attitude, self-efficacy, and maternal efficacy in the order. Most studies were conducted using objective measuring tools with the drawing projection test. The therapeutic technique mostly used for the studies was the mixed method, and collage and mandala were utilized in case of the single techniqu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