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Strength-based Career Course on Strength Knowledge, Strength Use, Self-Esteem, and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영아(Youngah Ch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3호, 247~26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7.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강점기반 진로교과가 대학생의 강점인식, 강점활용, 자아존중감 및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충청도 소재 4년제 대학의 강점기반 진로교과를 수강한 실험집단 125명, 다른 내용으로 구성된 진로교과를 수강한 통제집단 108명을 대상으로 강점인식, 강점활용, 자아존중감 및 진로적응력 수준을 사전과 사후에 각각 측정하고 집단 간 효과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통제한 후, 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강점기반 진로교과를 수강한 학생들의 강점인식, 강점활용, 자아존중감, 진로적응력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강점기반 진로교과를 통해 대학생들이 강점을 인식하고, 인식한 강점을 활용하는 것뿐 아니라,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 더 나아가 진로적응력 역시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ength-based career courses for College students on strength knowledge, strength use, self-esteem, and career adaptability. Methods For this study, the level of strength knowledge, strength use, self-esteem, and career adaptabilit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group 125 students who took strength-based career course and the control group 108 students who took other career course consisting of different contents. And the difference in effect between groups was analyzed. Results After controlling the pre-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t-test scor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s in strength knowledge, strength use, self-esteem, and career adaptability.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can be improved not only for college students to recognize their strengths through strength-based career courses, and to use the recognized strengths, but also to give positive evaluations of themselves and career adaptability which is a form of adaptation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by developing a strength-based career course linking strengths and career paths, it provided verified data for enhancing college students strengths awareness and use of strengths, self-esteem, and career adapt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