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Learner s Grit and Growth Mindset on Perceiv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Focused on Art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권수정(Kwon soo 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3호, 717~72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7.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예술교육 학습자들의 그릿과 성장마인드셋이 지각된 교육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방법 서울과 경기권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 대학원, 예술교육기관에서 예술교육을 수강하고 있는 수강생 200명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을 통해 2021년 3월 1일부터 3월 28일까지 총 28일간 최종적으로 수집된 자료 170부를 바탕으로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그릿과 성장마인드셋, 지각된 교육서비스 품질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그릿의 하위요인 중 꾸준한 노력은 모든 변인들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으며, 관심의 지속성은 성격마인드셋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또한 성장마인드셋의 하위요인 중 지능마인드셋은 지각된 교육서비스 품질의 모든 요인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으나, 성격마인드셋은 신뢰성과 유형성과만 정(+)적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둘째, 예술교육 학습자들의 그릿과 성장마인드셋이 각 지각된 교육서비스 품질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그릿의 하위요인 중 꾸준한 노력은 유형성과 반응성, 확신성에 대하여 정(+)적 영향을, 성장마인드셋의 하위요인 중 지능마인드셋은 모든 지각된 교육서비스 품질요인에 대하여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편 꾸준한 노력은 유형성에 가장 강한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으며, 지능마인드셋은 신뢰성에 가장 강한 영향력을 보였다.
결론 예술교육의 질적 차원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비인지적 특성을 고려한 교육서비스 품질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구체적으로 교육서비스 제공상황 속 물리적 시설, 장비, 시설 등의 유형적 서비스와 상벌제도, 평가 과정에 대한 신뢰성 등을 담보하는 신뢰할 수 있는 교육품질을 제고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art education learners grit and growth mindset on the perceived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Methods 200 students enrolled in art education at universities, graduate schools, and art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were set as the subject of the study. Based on 170 copies of data finally collected for a total of 28 days from March 1 to March 28, 2021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xing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grit, growth mindset, and perceived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among the sub-factors of grit, steady effor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variables, and persistence of interes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ersonality mindset.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the growth mindset, the intelligence mindse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factors of perceiv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whereas the personality mindset had a positive correlation only with reliability and tangibles. Second, as a result of grasping the effect of the grit and growth mindset of art education learners on the perceiv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factors, constant efforts among the sub-factors of grit had a positive (+) effect on tangibles, responsiveness, and certainty. Also, among the sub-factors of the growth mindset, the intelligent mindset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perceiv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factors. On the other hand, constant effort showed the strongest influence on tangibles, and intelligent mindset showed the strongest influence on reliability.
Conclus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of arts education, quality design of education services should be made in consideration of learners non-cognitive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it is believe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eliable quality of education that guarantees tangible services such as physical facilities, equipment, and facilities in the context of education service provision, the reward and punishment system, and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proc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