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Social Practice of the Liberal Education: Focusing on K University’s Social Innovation Living-lab Project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우대식(Woo, Daesik)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5권 제3호, 117~13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20학년도 여름 학기에 K대학 교양대학에서 운영된 <사회혁신 리빙랩 프로젝트>의사회적 실천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적 성과와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사회혁신 리빙랩 프로젝트> 관련 결과 보고서, 언론 보도, 주민 설문 조사, 학생 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과성과, 그리고 교육적 함의를 분석하였다. 본 프로젝트의 결과 파견 지역 도시재생 활성화 측면에서 크게 효과가 있었으며 주민들의 만족도역시 대체로 높았다. 교육적 효과 측면에서는 학생 및 전공 간 협력이 증진되었으며 학생들이 자기전공에 대한 열정과 관심을 갖게 되었고 나아가 사회적 기여와 공헌을 고려하여 미래를 전망하는모습을 보였다. <사회혁신 리빙랩 프로젝트>는 대학 교육을 통해 대학과 사회의 협력적 파트너십 형성 가능성을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학사제도 개선 및 지원체계 마련을제안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ducational achievements and their implications, focusing on the social practice case of the Social Innovation Living-lab Project implemented by K University in 2020. The progress of the project, its performance,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project-related reports, media reports, resident surveys, and student interviews. The project was effective in terms of revitalizing local urban regeneration, and resident’s satisfaction was generally positive. In educational effects, students also became passionate and interested in the effects of cooperation between themselves and their chosen majors. Moreover, they demonstrated positive effects from the reflecting they did regarding their own prospects as they considered their social contributions. This project is meaningful in that cooperative partnerships between universities and society can be formed through university education. Futhermore, this study proposed to improve the academic system and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to promote it.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K대 교양교육과 <사회혁신 리빙랩 프로젝트>
4.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