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저자명
- 성종현 김상헌
- 간행물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자료집』2020년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21~25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13

국문 초록
전 세계가 코로나 바이러스와 사투를 벌이고 있다. 코로나 블루,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지친 국민들에게 콘텐츠산업은 ICT요소를 결합한 융합콘텐츠라는 장르로 새로운 경험을 선사했다. 포스트 코로나19 시대는 비대면 서비스화 진전에 따라 융합콘텐츠가 뉴노멀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이 글에서 다룬 포스트 코로나19 융합콘텐츠 인큐베이팅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콘텐츠산업 11개 장르중에서 지식정보산업와 콘텐츠솔루션산업을 중심으로 출판,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광고, 캐릭터산업의 세부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해 보면 온라인 유통업, OTT플랫폼업, e-learning업, 온라인 정보 제공업, 포털, 가상산업, 무인시스템 등 다양한 언택트 서비스 기반 융합콘텐츠 시장의 흐름과 가능성을 볼 수 있다. 둘째, 지역에서 이러한 융합콘텐츠산업을 육성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콘텐츠육성 인프라 구축, 지역 콘텐츠제작 역량강화, 지역 콘텐츠 유통지원 등 지역콘텐츠산업을 진흥하는 지자체와 진흥기관의 협업을 통한 콘텐츠 지원정책발굴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목차
1. 머리말
2. 언택트 서비스 기반 융합콘텐츠 전망
3. 융합콘텐츠 산업과 인큐베이팅 전략
4.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