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the moderating effect of de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이주연(Ju-Yeon LEE) 지명원(Myong-Won CHI) 이지영(Ji-Young RHEE)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8권3호, 135~14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학업무기력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 패널데이터 2018을 데이터 대상으로 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간의 상관관계 결과 청소년의 학업무기력은 우울과 스마트폰 과의존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우울과 스마트폰 과의존과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들의 학업무기력은 우울과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학업무기력이 높을수록 우울과 스마트폰 과의존도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우울도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과의존도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이 지각한 학업무기력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helplessness and smartphone dependence in adolescents.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Data 2018,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resulted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martphone over dependence. And there has also been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of adolescentss and over dependence on smartphones. Second,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have been shown to influence depression and over dependence on smartphones. The higher the academic helplessness, the higher the depression and over 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depression is also a factor that affects over dependence on smartphones. The higher the depression, the higher the over dependence on smartphones. Finall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has been verified in the impact of late academic helplessness on smartphone over dependen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