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in Cultural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Juvenile North Korean Defecto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채경희(Chae Kyung-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2호, 111~12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이 문화적응 스트레스 상황 속에서도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찾고,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아통제의 수준이 환경맥락의 요구에 따라 융통성 있게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 특성화 학교에 재학 중인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3.0, AMOS 23.0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북한이탈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심리적 안녕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북한이탈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북한이탈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북한이탈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수준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지원방안과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Modern society demands that adult learners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o learn new skills and develop new abilities they need as they live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adult learners of life-long education centers and their learning achievement.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were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the Special School for Juvenile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data so gathered were process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es.
Results First,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the juvenile North Korean defectors had a negative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the juvenile North Korean defectors had a negative impact on self-resilience. Third, the self-resilience of juvenile North Korean defectors had a positive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juvenile North Korean defectors.
Conclusions In order to enhanc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juvenile North Korean defectors, there should be various types of support to reduce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interventions to increase their self-resilience, as the primary measur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