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creative question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parents using the d. School of Design Thinking Processo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종길(Lee, Jong-gil) 최진령(Choi, Jin-r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2호, 127~14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18년 5월 27일부터 8월 5일까지 유아자녀를 가진 부모를 대상으로 디자인 씽킹 프로세서를 활용한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유아부모의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경험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유아 자녀를 둔 엄마 9명을 대상으로 디스쿨 디자인 씽킹을 활용한 발문 부모교육을 12회 진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유아부모들의 디자인 씽킹 프로세서를 활용한 창의적 발문경험에 대한 인식은 ‘디장니 씽킹 발문에 대한 엄마의 인식’, ‘엄마가 본 디자인 씽킹 발문에 대한 자녀의 반응’, ‘엄마가 생각하는 디자인 씽킹 발문의 교육적 가치’로 인식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향후 자녀와의 대화 속에서 창의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훈육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이론적 연구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parental education using a design thinking processor for parents with early childhood from May 27 to August 5, 2018, an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experiences that emerged in the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parents.
Methods For 9 mothers with early childhood, 12 parental education programs using d.School Design Thinking were conducted.
Results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parents creative question experience using the design thinking processor was ‘Mother s Perception of Design Thinking Question’, ‘Early Childhood s Response to the Design Thinking Question from Mother’, ‘Mother s The flow of perception could be examined as’ the educational value of thinking design thinking.
Conclusions These results can be presented as a concrete plan for a discipline method that can enhance creativity in future conversations with children,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a theoretical study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