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nalysis of learner-centeredness in the syllabus of university lectur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주연(Kim, Joo Ye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2호, 193~20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수업계획서의 작성 시기와 이수 구분이 수업계획서의 학습자 중심성에 미치는 영향을 커뮤니티 요인, 권한과 통제 요인, 평가 요인으로 나누어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시내 A대학교의 2015-2학기 수업계획서 165개와 2020-2학기 수업계획서 162개를 11개 요인, 4점 척도로 분석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25.0 프로그램과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활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수업계획서 작성 시기 및 이수 구분은 커뮤니티 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수업계획서 작성 시기 및 이수 구분은 권한과 통제 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수업계획서 작성 시기 및 이수 구분은 평가 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수업계획서에서 학습자 중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교수자에게 접근할 수 있는 여러 시간대 및 전화, 이메일 등을 포함한 더 많은 경로 및 기회 제공, 학습 결과와 연결된 과제와 활동, 방법, 정책 및 절차에 대한 이론적 근거 제공, 수업 시 협력 요구, 더 많은 팀 프로젝트 수행, 과제 유형, 분량, 마감일, 학습 내용 등의 개발에 학습자들의 더 많은 참여 권장, 수업에 더 많은 지식을 가져오거나 생성할 책임을 학습자에게 부여, 학습 결과 및 평가 수단에 무게를 둔 수업계획서 작성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the development period of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of learner-centeredness of university syllabus by community, power and control, and evaluation factors.
Methods The analysis targets were 327 syllabi for the 2015-1 and 2020-2 semesters at A university in downtown Seoul, and a total of 11 factors were analyzed on a four-point scale.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multi-variate variance analysis(MANOVA).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eriod to develop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had and influence of the community fact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confirmed. Second, the period to develop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had and effect on the power and control fact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not confirmed. Third, the period to develop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had an effect on the evaluation fact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confirmed.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some solutions such as multiple time zones for learners to access professors and more routes and opportunities including phone, e-mail, etc., providing rationale for tasks and activities, methods, policies and procedures linked to learning outcomes, asking for collaboration and more team projects in class, encouraging learners to be mo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assignment types, volumes, deadlines, contents, etc., giving learners the responsibility to bring or generate more knowledge to the class, developing syllabi that focused on learning outcomes and evaluation methods and standards to improve learner-centeredness in future syllabu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