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opper’s Philosophy and Concept Learning in Social Stud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호범(Cheong Ho-bhu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2호, 353~37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Popper의 철학 이론과 사회과 개념학습 이론의 관련성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Popper 철학이 사회과 개념학습에 줄 수 있는 함의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방법 이런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Popper의 가설-연역법, 반증 이론, 대응론, 상식적 실재론, 명목론과 사회과 개념학습 이론의 관련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결과 그 결과 Popper의 이론들이 개념학습의 귀납의 문제, 사례 찾기, 개념의 진위/객관성/실재/정의 문제 등과 관련될 수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결론 Popper의 철학이 사회과 개념학습에 주는 함의는 사회적 개념에 대한 형성 과정에 있어서 과학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과 논리적이고 비판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과 접근을 통해 학생들은 개념의 진위와 의미를 보다 객관적⋅과학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opper s theory of philosophy and theory of social studies concept learning, and to reinterpret social studies concept learning based on this.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pper s hypothesis-deduction method, falsification theory, correspondence theory, common sense realism, nominal theory and social studies concept learning theory was investigated.
Results As a result, it turns out that Popper s theories can be related to the problem of induction of concept learning, case finding, and the problem of authenticity/objectivity/reality/definition of the concept.
Conclusions The implications of Popper s philosophy on social studies concept learning are that it is necessary to secure scientificity in the process of forming social concepts and that a logical and critical approach is required. And through this process and approach, students can grasp the authenticity and meaning of the concept more objectively and scientifically.
목차
Ⅰ. 머리말
Ⅱ. Popper의 ‘가설-연역법’과 귀납의 문제
Ⅲ. Popper의 ‘반증’ 논리와 개념의 사례 찾기
Ⅳ. Popper의 ‘대응론’과 개념의 진위와 객관성 문제
Ⅴ. Popper의 ‘상식적 실재론’과 개념의 실재 문제
Ⅵ. Popper의 ‘명목론’과 개념의 정의 문제
Ⅶ. 사회과 개념학습의 재해석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