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Mothers children s Education of thei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서은옥(Eun-Ok Seo) 오민석(Min-Suk 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2호, 447~46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국문 초록
목적 발달 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교육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를 탐색하고 다양한 상황 속에서의 어려움에 어떻게 대처하는지와 자녀의 성장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관은 무엇인지 탐색해보고자 한다.
방법 Giorgi(1997)의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 3명을 대상으로 참여적 관찰과 심층 면담, 전화, 내러티브 기술지 등 다양한 질적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발달 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교육 과정에서는 여전히 사회적인 편견과 친척들로부터의 냉소적인 반응, 교육과 제도적인 문제점, 경제적인 문제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둘째, 자녀들의 재능을 발굴하여 진로를 결정하고 자립하여 전문적인 직업을 갖도록 하기 위해 어머니들도 자녀를 위한 학습을 놓치지 않았고 자녀가 성장의 정도는 더디지만 꾸준함 속에서 자녀를 성장시켰음을 볼 수 있었다. 셋째,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들은 자녀교육을 통해 주변 사람들은 물론 어머니 본인의 내적 성장까지 이루어 낼 수 있었다.
결론 자녀들 스스로 자신을 성장하게 하고, 어머니 또한 확장된 관계 형성 속에서 삶의 질 향상을 제공하였다. 나아가 어머니들의 긍정적인 수용성과 자녀교육에 대한 확고한 가치관은 또 다른 장애 자녀들의 부모에게도 이어지길 바란다. 배움이 있는 곳에 성장이 일어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o explore the essential implications of the education of children of mother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Giorgi (1997), a variety of qualitative data such as participatory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telephone calls, and narrative journ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ree mother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ults First, the mother s child education process still showed social prejudice, cynical reactions from relatives, educational system problems, and economic problems in child education. Second, in order to discover the talents of their children, decide their career paths, become self-reliant, and have professional careers, it was found that mothers did not miss learning and endured slow but steady growth. Third, the education of one s children was able to see the growth of the mother as well as the people around him.
Conclusions The essential meaning of lifelong education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I think we should have more expertise in addition to parents. In the end, they made themselves grow and provided an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in the formation of extended relationships. Furthermore, I hope that the positive acceptance of mothers and a firm sense of values for their children s education will be passed on to the parents of other children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연구의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