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Predicting Flow in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송지현(Song Jihyun) 최원석(Choi Wonseok) 이혁기(Lee Hyuckg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2호, 617~62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온라인 체육수업을 경험한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가 체육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모집단으로 총 452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에 부적합한 87부를 제외한 365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26.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기본심리욕구 중 자율성은 체육수업몰입의 모든 하위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관계성은 수업내용에 대한 몰두 및 도전과 통제감 요인에, 유능성은 도전과 통제감 요인 및 자기목적적 경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 온라인 체육수업을 경험한 중학생들의 기본심리욕구가 어떻게 인지되는지에 따라 체육수업몰입에 관여되는지를 보여준다. 따라서 향후 온라인 체육수업에 있어 학습자의 몰입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온라인 체육수업 환경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에서 반영될 수 있는 자율성, 관계성, 유능성 욕구를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육학적, 교육공학적 접근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current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among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flow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online physical education(PE) classes.
Method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a total of 452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8th graders (male: 195, female: 170) in D city using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 Among them, 87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because they were incomplet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26.0.
Results Among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autonomy positively contributed to all the sub-factors of flow regarding PE participation. Relatednes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factors such as commitment to task and challenge and control.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factors such as self-purpose experience and challenge and control.
Conclusions The current study examined how middle school students are perceived to be involved in online PE classes. Because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influence active engagement in online PE classes, appropriate pedagogical and technological approaches need to be considered to support the desire for autonomy, relatedness, and compet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