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 Competence, Basic Psychological Needs, Job Engage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명화(Myunghwa Mo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2호, 663~67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 역량, 기본심리욕구와 직무열의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유아교사 역량과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와 강원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 방법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역량은 기본심리욕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기본심리욕구를 매개로 직무열의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기본심리욕구는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하여 유아교사 역량과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결론 직무열의가 유아교사 역량의 직접적 영향을 받지 않지만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받음으로써, 직무열의를 고조하기 위하여 유아교사 역량 함양과 그 매개변인인 기본심리욕구의 충족이 중요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 competenc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job engagement,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 competence and job engagement.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or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Gyeonggi-do and Gangwon-do,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as a data analysis method.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 competence had a direct influence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indirectly influenced on job engagement through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were found to play a role as a complete mediator. Second, it was verified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 competence and job engagement using bootstrapping.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job engagement is not directly affect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e, but it is indirectly affected through the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o it is important to cultivate early childhood teacher competence and to satisfy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as a mediating variable in order to heighten job engage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