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n the Academic Motivation of Undergraduates Participating in Untact Academic Promotion Extracurricular Programs: Focusing on those who preferentially require academic support at K Univers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선향(Park Seon Hyang) 윤혜림(Yoon Hae R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1호, 1~1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IN 코로나 상황 속에서 비대면으로 제공된 학업증진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학업동기를 분석하고, 비대면 학업증진 비교과 프로그램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모색하였다. 방법 학업증진 비교과 프로그램은 K대학교 1-4학년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약 3개월간 6회기 프로그램을 통해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과제, 목표관리, 시간관리, 수업관리, 시험 및 과제관리, 커리어 개발을 위한 자기 이해의 영역별 집중코스로 실시되었다. 대학생의 학업동기는 김아영(2002)의 AMT(Academic Motivation Test) 학업동기 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대상 학습자들의 프로그램 실시전 학업동기검사와 실시후 검사를 한 결과 학업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학업동기 수준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코로나 상황 속 비대면 학습 환경임에도 우선적 학업지원 대상자를 위한 적절한 처방의 효과성을 드러내는 바, 향후 학습지원 방식의 다변화를 꾀하는데 고무적일 것이라 판단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ademic motivation of undergraduates participating in academic promotion extracurricular programs provided in the contact-free way due to this situation of COVID-19 and explore educational meaning that untact academic promotion extracurricular programs are equipped with. Methods The academic promotion extracurricular program was provided to 72 students in the first to fourth grade at K University for about three months with six sessions of academic promotion programs, and the intensive course dealt with the following areas: tasks to lead a successful university life, goal management, time management, class management, examination and assignment management, and self-understanding for career development. The undergraduates’ academic motivation was measured by using Kim A-yeong (2002)’s AMT (Academic Motivation Test).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nducting AMT to the learners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program, those participating in the academic promotion program indicated an enhanced level of academic motiva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even in the untact learning environment for the situation of COVID-19, it shows the proper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for those who preferentially require academic support; therefore, it will be desirably adopted in diversifying the methods of academic support afterward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