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Types of Perception on the Future Performance of Poor Children: Focusing on the children of the World Vision Dream Wing Club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애림(Kim Ae L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1호, 157~17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빈곤아동의 미래성과에 대한 빈곤아동의 인식유형과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Q방법론을 활용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빈곤아동의 미래성과에 관한 23개의 진술문을 표집하였고 월드비전 꿈날개클럽 주니어 39명을 대상으로 2020년 10월 7일부터 10월 30일까지 총 22일간 Q분류를 하였으며, 이를 QUANL-PC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빈곤아동 미래성과에 관한 4개의 인식유형이 도출되었다. 1유형 개인적 성공기대형, 2유형 가족중심 성과기대형, 3유형 냉소적 판단형, 4유형 낙관적 기대형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빈곤아동의 인식에 기반한 미래와 진로, 지원체계 구축이 마련되어 아동복지를 증진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Q methodology was used to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oor children s perception of the future outcomes of poor children. Methods This study sampled 23 statements on the future outcomes of poor children, and conducted Qsoring for 39 Juniors of World Vision Dream Wings Club for a total of 22 days from October 7 to October 30, 2020.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QUANL-PC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our types of perceptions about the future performance of children in poverty were derived. Type 1 personal success type, type 2 family-centered outcome expectation type, type 3 cynical judgment type, and type 4 optimistic expectation typ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future, career, and support system based on the perception of poor children can be established to promote child welfa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