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Persuasive Writing Assess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scoring consisten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미(Jang, Mi) 박영민(Park, Young M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1호, 277~28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15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교사가 고등학교 논설문을 평가하면서 보이는 평가 특성 및 편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국어교사가 실제 평가에서 보이는 평가 특성과 편향을 확인하면, 쓰기 평가 전문성 신장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교육경력 5년 이상의 국어교사 10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학생 논설문 30편을 평가하는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평가 결과와 과정을 분석하여 국어교사의 논설문 평가 특성 및 편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첫째, 10명의 국어교사 중 6명은 적합, 1명은 부적합, 3명은 과적합한 평가 일관성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국어교사와 평가 기준 사이에서 발견된 90개의 상호작용 중, 유의한 편향은 20개로 분석되었다. 셋째, 최대 편향과 최소 편향이 나타난 국어교사 R4의 평가 과정 사고구술 프로토콜을 살펴보면, R4의 이러한 평가 편향은 평가 기준을 자의적으로 해석하여 재편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결론 이 연구는 연구의 대상이나 제한된 연구 상황과 지면 등에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평가 결과와 과정 분석을 병행하여, 국어교사의 평가 특성과 편향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였다는 점, 논설문 평가를 어려워하는 국어교사에게 노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oring characteristics and bia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grading of high school essays. This is because if a Korean language teacher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and bias of grading in actual grading. Methods To this end, 10 Korean language teacher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conducted an inspection to evaluate 30 student essays. In addition, the evaluation results and processes were analyz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biases of the Korean language teacher s editorial evaluation. Results As a result, first of all, six out of ten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found to have suitability, one nonconformity, and three were overmatched scoring consistency. Second, among the 90 interactions found between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scoring criteria, significant bias was analyzed at 20. Third, if you look at R4 s thinking skills protocol, which shows maximum and minimum bias, it seems that R4 s grading bias is due to arbitrary interpretation and reorganization of the scoring criteria. Conclusions This study has limitations on the subject of study or limited research conditions and the ground. However, it is meaningful in that he tried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grading characteristics and bia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by combining grading results and process analysis, and that he presented the direction to the Korean language teacher who was having difficulty grading the essa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