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Trends related to Sexual Minorit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현진(Lee, Hyun-jin) 김명찬(Kim, Myeung-ch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1호, 407~41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성소수자관련 국내 질적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국내 질적 연구에서 성소수자가 어떻게 논의되고 이해되어 왔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2020년 9월까지 발표된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성소수자와 관련된 질적 연구 총 25편을 분석하였다. 연구 기초사항, 연구대상, 연구 주제, 연구 방법 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첫째, 성소수자관련 질적 연구는 2004년 처음 소개되었으며, 2011년부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대상은 성소수자 대상 연구 18편(72.0%), 비성소수자 대상 연구 7편(28.0%)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주제는 성소수자의 주요경험 18편(72.0%), 비성소수자의 성소수자에 대한 인식 및 경험 7편(28.0%)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방법은 현상학 9편(36.0%), 기타 7편(28.0%), 내러티브 4편(16.0%), 근거이론 3편(12.0%), 사례연구와 CQR 각 1편(4.0%)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성소수자에 대한 연구와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키고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sexual minorities have been discussed and understood in domestic qualitative research by analyzing trends in domestic qualitative research related to sexual minorities. Methods To this end, a total of 25 qualitative studies related to sexual minorities were analyzed in the journal articles published until September 2020.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basics of the study, subject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qualitative studies related to sexual minorities were first introduced in 2004, and it was found to increase from 2011. Seco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 studies (72.0%) targeting sexual minorities and 7 studies (28.0%) targeting non-sexual minorities. Third, the research topics were 18 major experiences (72.0%) of sexual minorities and 7 (28.0%)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sexual minorities. Fourth, the research method was in the order of 9 phenomenology(36%), 7 other articles(28.0%), 4 narratives(16.0%), 3 grounded theories (12.0%), 1 case study and 1 CQR(4.0%).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search on sexual minorities and social interest were aroused and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