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Students’ Perception of Feedback,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상현(Park Sanghyun) 신이나(Shin Yin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1호, 517~52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피드백 인식,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의 2012년에서 2014년까지의 초등학교 4~6학년 패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 2,965명(남: 50.4%, 여: 49.6%)을 대상으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4학년과 5학년 사이에서는 피드백 인식은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효능감은 피드백 인식과 성취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성취도는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5학년과 6학년 사이에서는 자기효능감은 피드백 인식과 성취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성취도는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피드백 인식,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의 안정성을 파악해본 결과 성취도는 가장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피드백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결론 자기효능감은 피드백 인식과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추가적으로 초등학생의 피드백 인식,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와 관련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students perception of feedback,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in the primary school students. Methods Using data from the 2012~2014 year(4th~6th grade) primary school panel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and the study used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ARCL) model. Results First, we found evidence for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perception of feedback and self-efficacy from the 4th grade to 5th grade. Second, 5th grade self-efficacy significantly affected 6th grade perception of feedback. Third, we found evidence for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Forth, perception of feedback,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showed different stability. Conclusions Perception of feedback, self-efficacy showed different relationship over time, and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showed a reciprocal relationship.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