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eachers’ Perception of the Aesthetics of Science and Students’ Aesthetic Experience Classes through Teachers’ Experienc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손서진(Seojin Son) 문지영(Jiyeong Mun) 김성원(Sung-Won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1호, 543~55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생의 과학의 미적 경험을 강조하는 수업을 개발을 위한 준비로 중등교사들의 과학의 심미성에 대한 인식과 경험으로부터 미적 경험 수업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16명의 중등 과학교사들로부터 과학의 심미성에 대한 인식과 교사들의 경험을 통한 미적 경험 수업의 필요성, 수업 전략 및 장애 요인 등을 설문과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결과 과학교사들은 과학적 아이디어, 자연 현상의 아름다움에서 느껴지는 감성, 과학이 실제로 실천, 적용되는 과정에서의 가치, 과학자 또는 과학을 이해하는 사람의 경험의 가치, 과학에서 찾을 수 있는 구조적 및 형식적 아름다움 자체를 과학의 심미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본 미적 경험을 위한 과학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실제 세상을 학생들이 감각적으로 경험하게 하고, 과학적 아이디어의 역사적 맥락이나 관련된 과학자의 삶 속으로 학생을 초청하며, 과학개념을 학생의 삶과 연관시키고, 예술적인 비유를 사용하며, 지속적인 질문을 통해 깊이 있는 경험을 이끌어내는 수업을 말하고 있다. 결론 교사들의 경험은 학생들의 과학의 심미성 경험 수업 개발과 적용에 도움이 되며, 나아가 학생들의 전환적 경험, 개념 변화 및 유지, 자아개념 발달에 효과적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esthetic experience class from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he aesthetics of science in prepa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class that emphasizes the aesthetic experience of students science. Methods For this purpose,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16 secondary science teachers about the perception of the aesthetics of science, the necessity of teaching, and the factors of obstacles and strategies for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teachers experiences. Results Science teachers recognize the value of scientific ideas, the sensibility of the beauty of natural phenomena, the value of the process in which science is actually practiced and applied, the value of the experience of a scientist or a person who understands science, and the structural (formal) beauty itself that can be found in science, as the aesthetics of science. As a scienc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esthetic experiences seen through teachers experiences, students can sensibly experience the real world, invite students into the historical context of scientific ideas or the lives of related scientists, and introduce science concepts to students. It refers to classes that relate to life, use artistic metaphors, and elicit in-depth experiences through continuous questioning. Conclusions Teachers experiences will help others develop and apply science aesthetic experience classes, and furthermore, they will be effective in students transitional experiences, conceptual change and maintenance, and self-concept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