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ware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ward Disability-related Anti-Bias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승훈(Yi Seung Ho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1호, 855~86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와 예비특수교사들의 장애 관련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고, 두 집단 간 인식의 차이점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에 재학 중인 유아교육과 특수교육을 전공하는 3, 4학년 학생 13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 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교차분석 및 피셔의 정확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장애 관련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관련 정보수집 방법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전공에 따라 반편견 교육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서로 다른 인식을 하는 경우가 있었다. 특수교육 관련 과목 수강 경험과 장애학생 실습경험은 반편견 교육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원양성과정에서 장애 관련 반편견 교육 활동을 확대하고, 교육봉사 및 학교현장실습에서의 장애학생 실습경험을 확대하여 두 집단 간, 반편견 교육의 인식 차이를 줄일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disability-related anti-bias educ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prepare a plan to reduc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the two group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5 students in the 3rd and 4th grade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in Chungcheong-do and Jeolla-do. Data was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data proces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ss-analysis, Fisher s Exact 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programs.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ception about disability-related anti-bias education.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collecting Information. In addition, there were cases of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effect of anti-bias education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students depending on their majo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taking special education-related subjects and the hands-on experie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d an effect 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effect of anti-bias education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students. Conclusion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o reduc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anti-bias edu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by expanding the disability-related anti-bias education activities in th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process and expanding the hands-on experie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ducational service activity and school field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