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tandard for the Linked Curriculum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1st and 2nd grad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오은순(Eun Soon Oh) 오인희(In Hee Oh)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0호, 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 현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총론을 토대로 교육 현장의 적합성을 고려한 유치원과 초등학교 1-2학년군 연계 교육과정 기준안을 개발하여 연계 교육과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방법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 조사연구, 개발 연구를 실시하였다.결과 이를 위하여 여섯 가지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우선, 목차는 방향, 기틀, 흐름, 환류, 지원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방향에서는 유⋅초 연계 교육과정의 성격, 필요성, 목적과 목표를 제시하였다. 셋째, 기틀에서는 유⋅연계 교육과정의 준거와 원리를 제시하였다. 넷째, 흐름에서는 유⋅초 연계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환류에서는 유⋅초 연계 교육과정의 기본사항, 평가 기록, 평가 활용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지원에서는 유⋅초 연계 교육과정의 국가 수준과 교육청 수준의 지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유치원과 초등학교 1-2학년군 연계 교육과정 기준안 개발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결론 이를 위하여 현 교육과정을 충실히 반영하여 교육 현장의 혼란과 부담을 줄이기 위한 체계적이고 일반화된 교육과정인 총론을 토대로 만3-7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발달적⋅사회적⋅교육적 측면을 고려한 조화롭고 효율적인 양질의 교육과정인 유치원과 초등학교 연계 교육과정 기준안을 개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linked curriculum by developing a standards for the curriculum linked kindergarten and 1-2 grades of elementary school, considering the suitability of the educational arena. Method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nduct literature study, research study, and development study. Results The results were presented in six categories. First of all, the table of contents consisted of Directions, Frameworks, Flow, Feedback, and Supports. Second, in the Directions, the nature, necessity, purposes and goals of the curriculum linked to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were presented. Third, in the Framework, the criteria and principles of the curriculum linked to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were suggested. Fourth, in the Flow, the ideas for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linked to kindergarten and elementary were presented. Fifth, in the Feedback, the basic data of the curriculum linked to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evaluation records, and how to use such evaluation were presented. Sixth, in Supports, the supports at the national and office of education level, were suggested for the curriculum linked to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As result of such studies,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for the curriculum linked to kindergarten and 1-2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as achieved. Conclusions In this context, based on the general theory, a systematic and generalized curriculum designed to reduce the confusion and burden on the education arena by faithfully reflecting the current curriculum, a harmonious, efficient, and outstanding standard for the curriculum linked to kindergarten and 1-2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as developed, taking into account the developmental, social, and educational aspects for children aged 3-7 years ol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