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urse delivered live online due to COVID 19 on college students resili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안나(Kim anna) 강화(Kang hw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0호, 153~16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으로 진행된 전문대학생의 마음챙김 기반 수업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C대학 비대면 마음챙김 기반 교양 수업에 참여한 전문대학생 113명을 대상으로 마음챙김, 신체자각, 회복탄력성 수준을 사전(1주)-사후(15주)에 각각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동질성 분석, t-test,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결과 비대면 마음챙김 기반 교양수업에 참여한 전문대학생들은 마음챙김(t=-2.573, p<.05), 신체자각(t=-4.923, p<.001), 회복탄력성(t=-5.828, p<.001)이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마음챙김, 신체자각, 회복탄력성의 사후 점수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마음챙김, 신체자각척도, 회복탄력성 간에 p<.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마음챙김의 하위요인인 비판단은 마음챙김에서만 p<.01 수준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결론 본 마음챙김 기반 교양수업은 전문대학생들의 마음챙김과 신체자각력을 향상시키고, 회복탄력성 증진시키는 정신건강교양의 일환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한계점과 향후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 mindfulness-based course delivered live online due to COVID 19 on college students resilience.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113 college students, and outcomes of mindfulness, body awareness, and resilience were assessed at baseline(1 week)and post-class(15 weeks). Homogeneity tests, t-tests and Correlation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at the post class-test, college students mindfulness(t=-2.573, p<.05), body awareness (t=-4.923, p<.001), and resilience(t=-5.828, p<.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sing Correlational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P<.01) between mindfulness, body awareness, and resilience. However, non-judgment, one of the sub-elements of mindfulness, is significantly correlated only with mindfulness (p<.01). Conclusions It was concluded that mindfulness-based course can effectively improve mindfulness, body awareness and resilience for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the use of mindfulness-based live online at the college level is discussed as a way of training resilience for mental healt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