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Peer Instructor Program Activities on Learning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혜영(Jo, Hye-Young) 이보림(Lee, Bo-Rim) 조민정(Jo, Min-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0호, 451~46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또래강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방법 연구대상은 S대학교 CTL 또래강사 프로그램 참여자 102명이다. 최종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초통계 분석(M, SD)을 통해 연구변인의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왜도와 첨도로 정규성을 알아보았고, Cronbach s alpha 계수로 문항의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정규성을 만족하면서 사전 연구참여자와 사후 연구참여자가 동일하다는 전제를 가지고 있는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역량, 자기주도 학습역량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 간의 차이를 보면, 사전 점수에 비해 사후 점수가 .22점부터 .50점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왜도는 -.653부터 .248의 범위로 나타났고, 첨도는 -1.087부터 1.621의 범위로 나타나 정규성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역량, 자기주도 학습역량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 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학습역량(p-value .000)과 하위영역인 정보구성 능력(p-value .000), 자원활용 및 자아인식(p-value .001), 자기개선 및 사회성(p-value .002)에서 차이가 발생하였다. 자기주도 학습역량(p-value .000)과 하위영역인 인식능력(p-value .000), 학습전략(p-value .000), 학습활동(p-value .000), 평가(p-value .000), 대인관계 기술(p-value .000)에서 차이가 발생하였다. 또래강사 프로그램 후에 연구변인들의 평균 점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학습역량과 자기주도 학습역량 강화에 유의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결론 본 연구결과는 역량 중심 비교과 학습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할 때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peer instructor program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02 peer instructor program participants at S University. The final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identified the tendency of study variables through basic statistical analysis (M, SD) using SPSS 18.0. We investigated the normality with skewness and kurtosis, and analyzed the reliability of questions with the Cronbach s alpha coefficient.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score and the post-score, we analyzed with the paired sample t-test that not only satisfies the normality but also assumes that the pre-research participants and post-research participants are same. Resul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cores and post-scores of learning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howed that the post-scores rose from .22 to .50 compared to the pre-scores. The skewness was in between -.653 and .248 and the kurtosis was shown to be in the range of -1.087 to 1.621, which satisfies the normality.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scores and the post-scores of learning competen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differences occurred in between learning competency(p-value .000) and the subareas, information ability(p-value .000), resource utilization, self-awareness (p-value.002), and sociality (p-value.002). Differences occurred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p-value.000) and the subareas, recognition ability(p-value.000), learning strategies(p-value.000), learning activities(p-value.000), evaluation(p-value.000), and interpersonal skills(p-value.000). Since the average score of research variables increased after the peer instructor program, it can be interpreted as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strengthening learning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nclusions This research resul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the basic data for planning and running the competency-oriented extracurricular learning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